요즘 많이 우울하다.. 서버를 배포하고 있는데 열어둔 포트로는 접속이 되지만 API 연결이 안 돼서 일주일 가까이 붙잡고 있다.. 어떤 이유로라든 해결이 됐으면 좋겠다.
지금 해보고 있는 해결 방안은 zip 파일 대신 jar 파일을 배포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ssh 연결이 필요하다. git clone ssh를 한 후 ./gradlew build를 실행해 줬는데 10분이 넘게 끝나지 않길래 커맨드 C로 강제 종료해 줬다.. 근데 그 이후 ssh 접속이 되지 않았다.
사진상으로는 터미널에서 접속해 본 것이 끝이지만 터미널 외에 EC2 인스턴스에 직접 연결도 여러 번 했다. 근데도 무한 로딩이 걸렸다.. ssh 접속이 아예 거부당한 적은 많은데 접속이 되지 않고 무한 로딩이 걸린 것은 처음이라 당황스러웠다.
구글에 검색해 보니 다행히 원인을 알 수 있었다..
gradlew를 빌드하면서 CPU 사용량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90 이상은 안 찍었는데 70만 넘어가도 먹통이 되는 것 같다. 해결 방법은 인스턴스를 중지하고 다시 시작해 주면 된다.
+)
어쨌든 gradlew build를 해야 돼서 또 같은 문제가 발생할까 걱정했는데 다시 할 때는 문제없이 됐다!
+) 2024.02.27
실수로 인스턴스를 종료해서...ㅋ 처음부터 다시 구축하고 있는데 이 문제가 또 발생했다.ㅠㅠ 이번엔 사용률 99퍼까지 찍었고, 재부팅 할 때마다 로딩이 너무 오래 걸려서 아래 방법으로 해결했다.
https://sundries-in-myidea.tistory.com/102
AWS EC2 프리티어에서 메모리 부족현상 해결방법
AWS free tier를 사용하다보면 2%가 부족할 때가 있다. AWS 프리티어는 가난한 대학생에게는 한줄기 빛과 같은 존재인데, AWS의 프리티어라서 적게 돈이 나가는 것도 좋고, 실제로 이것저것 해볼 수 있
sundries-in-myidea.tistory.com
'Dev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 CodeDeploy + S3 + GithubActions 조합으로 자동화배포 구축하기 - (2) CodeDeploy 및 S3 세팅 (0) | 2024.04.15 |
---|---|
[AWS] EC2 + CodeDeploy + S3 + GithubActions 조합으로 자동화배포 구축하기 - (1) EC2 인스턴스 생성 및 세팅 (0) | 2024.04.12 |
[AWS] io.awspring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SpringBoot & Amazon S3 연동하기 (0) | 2024.03.12 |
[AWS] CodeDeploy의 scripts/deploy.sh를 제대로 작성해보자 (1) | 2024.01.29 |
[AWS] EC2 배포 일주일 삽질 스토리 (feat. 환경변수) (1) | 2024.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