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IT

[우아한테크세미나] 우아한객체지향 By 우아한형제들 개발실장 조영호님

이 영상은 (나한테 큰 충격과 깨달음을 주었던 객체지향 책인) 오브젝트의 저자님인 조영호 선생님께서 직접 설명해 주시는 객체지향 영상이다. 배달 플로우 중 "주문"을 기준으로 코드와 함께 설명해 주신다. 몇 달 전부터 보고 싶었으나 객체지향 개념이 부족해 이해하지 못하다가 이번에 다시 시청했다. 비록 뒷내용인 이벤트 핸들러 부분은 개념이 부족해 이해하지 못했지만 공부 후에 한 번 더 시청할 예정이다. 인상 깊은 내용을 위주로 정리하다 보니 잘못 작성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우아한객체지향 By 우아한형제들 개발실장 조영호님 의존성을 따라 시스템을 진화시켜라 의존성이란 무엇일까? 의존성이란 "변경에 의한 영향"이다. B가 변경될 때 A도 함께 변경되면 두 클래스는 의..

IT

3-Tier Architecture란?

컨트롤러에서 요청과 응답을 관리하도록 구현하다 보니 계층 구조에 대해 궁금해졌다. 그 중 3-Tier를 알게 되었는데, 중요한 내용을 많이 담고 있어 정리하고자 한다. 3-Tier Architecture 어떠한 플랫폼을 클라이언트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 데이터 계층으로 나누어 별도의 장치에 구축 및 운영하는 형태 3-Tier 구성 서버 1. Presentation Tier 사용자가 직접 마주하게 되는 계층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프론트엔드라고도 부른다. 웹 서버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2. Application Tier 들어오는 요청을 어떠한 규칙을 기준으로 처리하고 가공하는 계층이다. 데이터 계층에 업무를 넘기거나 참조하는 기능도 병행한다. 서버처럼 동작(응답)하고, 클라이언트처럼 행동(요..

IT

클래스 다이어그램으로 분석 단계 UML 작성해보기

우아한 테크코스 예전 문제인 다리 건너기 게임을 풀고 있는데 3번 정도 코드를 갈아엎고 나서야 설계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사실 설계의 중요성은 이전에도 알고 있었지만 간단한 게임 정도는 기능 요구 사항 작성만으로 충분할 줄 알았다.(큰 오산) 다리 건너기 게임은 게임 진행이 간단한 편이지만 결과 출력이 정말 까다로운 문제이다. 위쪽 다리와 아래쪽 다리를 동시에 기록하면서 동시에 출력해야 하기 때문에 메서드에서 필요로 하는 값을 정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이번에는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UML을 작성한 후 구현에 들어가려고 한다. UML 종류가 워낙 많아서 어떤 타입으로 작성할지 고민했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클래스 다이어그램으로 작성했다. 까다로운 다리 출력 처음 구현했을 때 정말 정말 지저분하게 다리..

IT

책임과 협력

필요한 행위(메스드)를 선별한다. 그리고 해당 행위를 누군가에게 책임으로 준다. 이때 행위 관련 필드가 필요하면 추가해준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필드보다 행위 정의가 먼저이다. 필드는 그저 행위에 필요한 상태. 때문에 필드는 관련 메서드가 책임진다. 어떠한 행위를 하는 과정에서 혼자로는 힘들다고 판단? 그러면 협력자를 구하자. 협력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은 협력자에게 넘겨준다. 이것이 곧 파라미터.

yo0oni
'IT'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