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김영한 선생님 스프링 입문 강의를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ResponseBody
html에 나오는 바디 태그가 아니라
http body에 이 데이터를 직접 넣어주겠다는 의미
해당 어노테이션을 작성하면 ViewResolver 대신 HttpMessageConverter가 동작한다.
문자열인 경우 문자열 그대로 반환 (StringConverter)
객체인 경우 JSON 형식으로 반환 (JsonConverter / MappingJackson2HttpMessageConverter)
위처럼 리턴값을 작성하면 뷰 대신 문자열을 출력하며,
위처럼 리턴값이 객체이면 JSON을 출력한다.
주소창에 입력하면 이렇게 JSON이 반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ev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OCP, DIP를 위반하는 클라이언트 코드 고치기 (feat. DI) (0) | 2023.09.10 |
---|---|
[Spring] 스프링이란? (0) | 2023.09.03 |
[Spring] DI를 사용하여 구현 클래스 변경하기 (0) | 2023.09.01 |
[Spring]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0) | 2023.09.01 |
[Spring]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dataSourceScriptDatabaseInitializer' (0) | 2023.07.24 |